|관리자
|2020-11-18
|4597
○ 주부 대상 친환경적인 수돗물 바로 알기 교육 및 현장 견학
전국 3개 지역에서 주부 306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고, 교육 전후 평가 설문을 실시하여 교육 효과를 측정 하였음.
<표1 교육 실적>
지역 |
교육일자 |
교육실적(명) |
교육 장소 |
충남 |
7. 21. 7. 22. 7. 23. |
106 |
태안군 자원봉사센터 강당 예산구지회 강당 부여군 여성문화회관 |
경북 |
7. 16. 7. 30. |
100 |
경북도지부 교육장 |
부산 |
8. 12. 9. 16. |
100 |
부산시지부 강당 |
합계 |
306 |
|
■ 교육전후 설문 평가 결과
주부대상 교육자 306명 중 교육전후 설문지는 306명(100%) 회수되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, 교육 전후 설문 측정 결과 환경을 생각하는 가장 건강하고 깨끗한 물에 대한 교육전후 결과를 살펴보면 수돗물에 대한 인식이 17.6%-->96.1%로 78.5%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고, 먹는 샘물의 유통기한을 인지한다는 응답률은 교육 전 60.1%-->교육 후 97.1%로 나타나 37.0%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, 물 부족(스트레스) 국가를 인지한다는 응답률은 교육 전 70.6%-->교육 후 98.0%로 나타나 27.4%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.
교육 대상자 일반 사항
▶교육 대상자의 지역을 살펴보면 충남 34.6%, 경북/충남 각각 32.7%였다.
<표2 응답자 일반 사항>
항목 |
빈도(명) |
비율(%) |
부산 |
100 |
32.7 |
충남 |
106 |
34.6 |
경북 |
100 |
32.7 |
합계 |
306 |
100.0 |
2. 물에 대한 인식
▶환경을 생각하는 가장 건강하고 깨끗한 물에 대한 교육전후 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전에는 정수기물 62.1%, 수돗물 17.6%, 생수 15.4%, 냉온수기물 3.3%, 약수터물 1.6% 순이었으나, 교육 후에는 수돗물 96.1%, 정수기물 2.37%, 약수터물 1.6%, 순으로 나타나 수돗물에 대한 인식이 17.6%-->96.1%로 78.5%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.
<그림1 환경을 생각하는 건강하고 깨끗한 물에 대한 교육전후 결과>
3. 먹는 샘물 유통 기한 인지도에 대한 교육전후 결과
▶먹는 샘물 유통 기한 인지도에 대한 교육전후를 살펴보면 먹는 샘물 유통기한이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교육 전에는 예 60.1%, 아니오 39.9%였으며, 교육 후에는 예 97.1%, 아니오 2.9%로 나타났으며, 먹는 샘물 유통기한을 인지한다는 응답률은 교육 전 60.1%-->교육 후 97.1%로 나타나 37.0%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.
<그림2 먹는 샘물 유통 기한 인지도에 대한 교육전후 결과>
4. 물 부족(스트레스) 국가 인지도 교육전후 결과
▶물 부족(스트레스) 국가 인지도에 대한 교육전후를 살펴보면 우리나라가 물 부족(스트레스) 국가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교육 전에는 예 70.6%, 아니오 29.4%였으며, 교육 후에는 예 98.0%, 아니오 2.0%로 나타났으며, 물 부족(스트레스) 국가를 인지한다는 응답률은 교육 전 70.6%-->교육 후 98.0%로 나타나 27.4%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.
<그림3 물 부족(스트레스) 국가 인지도에 대한 교육전후 결과>
5. 안전한고 경제적인 물에 대한 인식
▶미네랄이 풍부하고, 가장 안전하면서, 경제적인 물이라고 생각하는 물에 대해서는 수돗물 96.4%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, 생수 2.3%, 정수기물 1.3% 순으로 나타났다.
<그림4 물에 대한 인식>
6. 수돗물 안심 확인제에 대한 인지도
▶수돗물 안심 확인제에 대한 인지도를 살펴보면 매우 잘 안다 83.0%, 약간 안다 16.3%, 보통 0.7% 순으로 나타나 안다는 응답자는 99.3%로 나타났다.
<그림5 수돗물 안심 확인제에 대한 인지도>
7. 교육 만족도
<그림6 교육 내용, 강사, 교재에 대한 만족도>
8. 교육사진